김승영
http://wolkykim.ziom.co.kr/
3rd Edition, 최종수정일 2007년 9월 21일, Revision 3.4.8
HTML(Divided) HTML(Combined) SGML(DocBook)
잘못 쓰여진 내용이 있다면 약간의 시간을 할애하여 저자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. 이것은 다음 사람들에게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. 본 글의 최종 수정본은 http://www.ziom.co.kr/doc/PoweredByDNS/에서 구할 수 있으며, 도움이 된다면 자유롭게 활용하셔도 좋습니다.
- 차례     
- 1. Domain Name System의 이해
  -     
- 1.1. DNS       Namespace       
- 1.2. Domain Name Resolving
 - 1.3. 도메인명에 사용가능한 문자셋
  - 1.2. Domain Name Resolving
 
 - 1.1. DNS       Namespace       
 - 2. Name Server 운영
 -     
- 2.1. Name       Server 유형       
- 2.2. BIND(Berkeley Internet Name Daemon) 설치
 - 2.3. 퍼블릭 도메인(Public Domain) 신청
 - 2.4. 인버스 도메인(Inverse Domain) 신청
 - 2.5. Name Server 설정
  - 2.2. BIND(Berkeley Internet Name Daemon) 설치
 -       
- 2.5.1. BIND-4 부트 파일 named.boot         
- 2.5.2. BIND-8 부트 파일 named.conf
 - 2.5.3. 리소스 레코드(Resource Record)
 - 2.5.4. Zone 데이터베이스 예제
  - 2.5.2. BIND-8 부트 파일 named.conf
 
 - 2.5.1. BIND-4 부트 파일 named.boot         
 - 2.6. Name Server       구동       
- 2.7. Name Server 동작 확인
  
 - 2.1. Name       Server 유형       
 - 3. 클라이언트(Resolver) 설정
 - 4. 도메인 위임 (Domain Parenting & Delegation)
 -     
- 4.1. 부모 Zone에서의 서브 도메인 생성       
- 4.2. 서브 도메인 위임
 - 4.3. 옥텟 기반 in-addr.arpa 위임
 - 4.4. Classless in-addr.arpa 위임
  - 4.2. 서브 도메인 위임
 
 - 4.1. 부모 Zone에서의 서브 도메인 생성       
 - 5. 고급 기능
 -     
- 5.1. DNS       Notify       
- 5.2. Dynamic Update
 - 5.3. 미러링 서버간의 부하 공유
  - 5.2. Dynamic Update
 
 - 5.1. DNS       Notify       
 - 6. DNS와 Sendmail
 -     
- 6.1. MX       알고리즘       
- 6.2. MX 레코드를 갖지 않는 호스트
 - 6.3. MX와 CNAME의 연동
 - 6.4. Nonrecursive MX lookup
 - 6.5. Sendmail의 Virtual Domain 설정
  - 6.2. MX 레코드를 갖지 않는 호스트
 -       
- 6.5.1. m4를 사용한 sendmail.cf 생성         
- 6.5.2. Forward-map 테이블 작성
 - 6.5.3. Reverse-map 테이블 작성
 - 6.5.4. 테이블 변환 및 실험
  - 6.5.2. Forward-map 테이블 작성
 
 - 6.5.1. m4를 사용한 sendmail.cf 생성         
 
 - 6.1. MX       알고리즘       
 - 7. BIND 유지/보수
 -     
- 7.1. BIND       시그널       
- 7.2. BIND Syslog 메시지들
 - 7.3. BIND Syslog 주의/오류 메시지들
 - 7.4. BIND Statistics
 - 7.5. BIND Debugging Output
  - 7.2. BIND Syslog 메시지들
 
 - 7.1. BIND       시그널       
 - 8. DNS 오류 수정 도구
 -     
- 8.1. NSLOOKUP
 -       
- 8.1.1. 도메인 네임         검색         
- 8.1.2. 기본 쿼리 서버 변경
 - 8.1.3. 네임 서버처럼 질의하기
 - 8.1.4. Zone Transfer
 - 8.1.5. 초기화 파일 .nslookuprc
  - 8.1.2. 기본 쿼리 서버 변경
 
 - 8.1.1. 도메인 네임         검색         
 - 8.2. DIG       
- 8.3. DNSWALK
  
 - 9. Miscellaneous
 -     
- 9.1. FQDN(Fully       Qualified Domain Name)       
- 9.2. DNS와 BIND의 차이
 - 9.3. BIND-4(Traditional)와 BIND-8(Next Generation) 가지
 - 9.4. 퍼블릭 도메인 (Public Domain)
 - 9.5. CNAME의 사용에 관해
 - 9.6. Zone 데이터베이스 작성에 대해
 - 9.7. 글루 레코드 (Glue Record)
 - 9.8. Lame Delegation
 - 9.9. Authoritative answer & Non-authoritative answer
 - 9.10. Positive & Negative Caching
 - 9.11. Iterative(Nonrecursive) & Recursive 네임서버
 - 9.12. RTT(Round Trip Time)와 Nameserver 선택
 - 9.13. 와일드카드
 - 9.14. Serial Number 조정
 - 9.15. IP 변동에 따른 TTL 조정
  - 9.2. DNS와 BIND의 차이
 
 - 9.1. FQDN(Fully       Qualified Domain Name)       
 - 10. Bibliography
 
- 그림 목록     
- 1-1. Namespace 예제
 - 1-2. 도메인 네임 Resolving
 - 2-1. 네트워크 구성도
 - 3-1. Windows NT에서의 Resolver 설정 예
 - 4-1. Domain Delegation에 의한 Namespace 계층도
 - 5-1. Maximum Propagation Delay
 - 7-1. 네임서버간의 질의 예제
 - 8-1. 네임서버처럼 질의하기
  - 1-1. Namespace 예제
 
| 다음 | ||
| Domain Name System의 이해 | 
댓글 없음:
댓글 쓰기